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청탁금지법 질의응답

정보공개

이곳은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과 관련하여 유권해석 요청, 질의 등 궁금한 사항에 대한 문의를 하는 공간입니다.

참고로 청탁금지법과 관련한 유권해석 요청이나 질의 등 궁금하신 사항은 국민신문고>민원신청 또는 공문(국민권익위원회 청탁금지제도과)을 통해서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누리집 문의게시판은 질의내용과 답변내용이 대외적으로 공개되므로 비공개를 원하시거나 질의 내용이 복잡한 경우 등은
국민신문고나 공문을 통해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신공격, 비방, 욕설, 상업적·선정적 글, 반복 게재 등 누리집의 정상적 운영을 저해하는 내용은 사전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청렴포털(www.clean.go.kr)을 이용하시면 청탁금지법위반·채용비리, 복지·보조금 부정수급 및 공공재정 부정청구 등 행위, 부패행위, 행동강령 위반, 공익침해행위, 이해충돌방지법 위반행위 신고 및 이와 관련된 상담을 신청하고 처리 과정을 열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문의

외부강의에 해당하지 않는 사항에 대한 문의

  • 작성자 황**
  • 작성일2024-06-14
  • 조회수689
국내 학회에서 주관하는 업무로, 직무와 관련된 자격시험의 문제출제 및 검토위원으로 위촉되었습니다.
이에 관련 공문과 위촉장(문제출제 및 검토 기간 2주)을 득한 상황입니다.

"외부강의등 신고 의무 체크리스트"에 따르면 "시험출제위원으로 위촉되어 시험출제 업무를 하는 경우 외부강의등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입니다. 이 경우,

1) 외부강의 신고는 하지 않지만, 1회 사례금 및 총 사례금 제한액이 있는지?
2) 외부강의 신고 건의 경우 "연간 상한액 제한"에 해당되나, 신고하지 않는 건의 경우 "연간 상한액"에 포함되는지?
3) 외부강의 신고 건의 경우 "월 횟수 제한(월 3회 초과불가)"이 있으나, 신고하지 않는 건은 "월 횟수 제한"에 포함되는지?

다음의 세가지 사항에 대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 청탁금지제도과 2024-06-21

    ※ 구체적 사실관계의 확인이 없는 일반론적 답변이며, 이 답변은 구체적 상황에 대한 해석으로 원용할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국민권익위원회 청탁금지제도과입니다.

    가. 청탁금지법 제10조에 따른 외부강의등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사례금 상한액 제한을 받거나 신고의무가 부과되는 것은 아닙니다.

    나. 한편, 외부강의등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청탁금지법 제8조의 일반 금품등 수수 금지 규정으로 규율되는 바, 청탁금지법 제8조제3항제3호에서 “사적 거래(증여는 제외한다)로 인한 채무의 이행 등 정당한 권원(權原)에 의하여 제공되는 금품등”을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금품등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문제출제 및 검토 업무에 상응하는 정당한 대가는 법 제8조제3항제3호에 따라 허용되는 금품등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 이때, 권원의 정당성 여부는 제공 목적·동기 등 경위, 직무의 내용 및 특성, 당사자의 관계, 관계 법령·기준상 허용 여부 등을 고려하여 대가의 적정성 여부로 판단합니다.

    ※ 청탁금지법 제8조제3항 각 호의 예외사유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1회에 100만원 또는 매 회계연도에 300만원을 초과하는 금품등의 수수도 허용

    다. 청탁금지법은 외부강의등의 횟수 및 연간 상한액 제한에 대해 별도 규정하고 있지 않으며, 행동강령 관련 문의는 기관 내 행동강령 업무담당자 또는 국민권익위원회 행동강령과에 하시기 바랍니다.

콘텐츠 정보책임자

  • 콘텐츠 관리부서
  • 전화번호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자주찾는 서비스 닫기

자주찾는 서비스 설정하기 총 8개까지 선택할수 있습니다.

메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