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뉴스·소식

[홍보기법(4)]新브리핑 제도의 이해

  • 작성자김덕만
  • 게시일2005-05-02
  • 조회수9,269

 [언론홍보기법(4)]

                                     *新브리핑 제도의 이해   


                                                                                            - 김덕만 공보담당관

 

참여정부는 2004년 1월부터 개방형 기자실 도입과 함께 브리핑제를 본격적으로 도입했다.

서울 세종로 중앙청사 기자실은 ‘총리 브리핑실’(10층)과 교육부, 통일부, 행자부, 여성부의 기자회견이 이뤄지는 ‘합동 브리핑실’(5층)로 재편됐다. 국무총리 브리핑실은 감사원과 국무총리 산하의 위원회 연구소 등이 함께 사용한다. 우리위원회(부방위)는 바로 이 국무총리 브리핑실에서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설명회를 갖는다. 청와대는 노무현 정부 출범과 동시에 춘추관 기자실을 브리핑실로 개방했다.


참여정부의 브리핑실 운영현황을 알아본다.



1. 청와대 브리핑실


청와대는 2003년 6월 2일 개방형 브리핑제 도입에 따라 기자실인 춘추관을 개보수해 브리핑실로 명명하고 개방했다. 청와대는 기자실 개방 이후 국내 등록기자의 평균 출입률을 조사한 결과 국내기자 출입률은 54% 정도이고, 외신기자는 3개월 평균 5.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집계했다. 2004년 1월 현재 청와대 출입 정규 등록기자는 모두 276명이다.


1층 상주기자실은 기사송고실로, 2층 대회견장은 브리핑실로 각각 바뀌었다. 1층 기사송고실은 56석의 중앙기자실과 39석의 지방기자실, 31석의 TV·사진기자실이 자리 잡았다. 기사송고실에는 50인치 액정모니터를 설치, 브리핑을 볼 수 있도록 했으며 사실상 지정좌석을 의미하는, 28개 중앙언론사 등의 전화선은 그대로 유지했다. 2층 브리핑실에는 145석의 기사송고 탁자와 3대의 카메라대가 배치되는 대신 고정 좌석제는 폐지했다.


출입기자 등록원칙은 1개 법인 당 취재기자 1명과 사진기자 1명이다. 춘추관 개방에 앞서 청와대는 참여정부 출범일인 2003년 2월 25일부터 오전·오후 정례 브리핑을 실시했으며, 본관에 위′비서실 방문취재를 금지했다. 개별취재의 경우 대변인실을 통해 ‘인터뷰 취재 요청서’를 사전에 작성, 춘추관에서 관계자를 만나도록 조치했다.



2. 부패방지위원회와 광화문 중앙청사


광화문 중앙청사에 입주하고 있는 총리실 이외의 부처들은 2003년 9월 합동브리핑실을 마련했다. 총리 브리핑실은 청사 10층에 설치됐고, 교육부, 통일부, 행자부, 여성부 등 4개 부처의 합동 브리핑실은 5층에 설치됐다.


80평 규모의 총리 브리핑실은 25평의 브리핑실과 기자들이 기사를 작성·송고할 수 있는 37평의 기사송고실과 사물함을 두었다. 여기자 휴게실(13평)과 행정실(5평)은 별도 배치됐다. 총리 브리핑실에서는 총리실, 국무조정실, 감사원, 법제처, 국정홍보처, 부패방지위원회 등 6개 기관의 브리핑이 실시된다. 브리핑실에는 LAN(근거리통신망)을 설치, 브리핑 청취와 동시에 현장 송고가 가능하도록 하고, 장소가 부족할 경우 예비 송고실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종합청사 5층에 마련된 합동 브리핑실은 224평 규모로 4개 부처의 브리핑을 진행할 브리핑실 2개(각 40평, 29평)가 확보됐다. 이밖에 기사송고실(95평)과 방송사의 전화송고용 리포트실, 휴게실(30평), 행정지원실(10평) 등이 별도로 마련됐다.


당초에는 국무총리실을 비롯해 입주부처 모두를 아우르는 합동브리핑실을 개설하려고 했으나 참여정부 초기 고건 국무총리가 "국무총리실은 자체적으로 브리핑실이 필요하다"고 강조해 통합하지 않았다고 한다. 결국 한 건물에 브리핑실이 두개가 있게 된 것이다.




3. 개별청사의 브리핑실


청와대에 이어 2003년 4월 16일 정부부처 가운데 처음으로 문화관광부가 브리핑룸을 공개했다. 문광부는 18평 규모의 브리핑실에 3인용 탁자와 의자 10개, 보조의자 10개를 두었으며 9평의 취재지원실에는 전화, 팩스, 컴퓨터, TV 등을 설치했다.


과거 기자실에 獵간이침대, 소파, 사물함 등은 사라졌다. 문화관광부 출입기자는 35개사 63명에서 47개사 105명으로 대폭 늘었으며, 주 1회 담당 실국장 주재하에 정례 브리핑을 시행하고 있다.


2003년 5월 들어 기상청, 기획예산처, 국세청 등도 기존 기자실을 브리핑룸으로 전환했으며, 외교통상부는 2003년 5월까지 언론사별로 출입신청을 받았다.


기획예산처는 종전 기자실을 4층으로 옮기면서 브리핑실과 취재지원실로 바꾸었다. 기자 개인별 부스(칸막이)는 없앴다. 예산처는 모든 등록기자들을 대상으로 주 1회 정례 브리핑을 개최하고, 사안이 생길 때마다 수시 브리핑을 한다.


국세청은 2003년 5월 12일 출입기자 등록을 마감하고 일일 브리핑을 실시하고 있다. 출입기자는 개방형 도입 전보다 10여명 늘었다. 브리핑은 과별 정보를 취합해 공보관이 대행하고, 개별취재 시엔 사전 면담신청을 내도록 했다.



4. 과천청사의 실험


재정경제부, 산업자원부, 농림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정부 과천청사 내 4개 경제부처의 합동 브리핑실은 2003년 12월 29일 문을 열었다. 과천청사 합동 브리핑실은 브리핑, 기사작성, 송고시설 등이 마련된 제1브리핑실(108석)과 마이크 등 영상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빔 프로젝터가 설치된 제2브리핑실(80석), 소규모 제3브리핑실(32석), 공무원과의 면담. 인터뷰용 접견실 등으로 구성됐다. 경제 4개 부처에 출입하는 기자는 230명(상주기자 130명)이며 부대장비로 팩스(3대), 정보단말기(1대)가 갖춰졌다. 당시 보도와 출입기자들에 따르면 송고시설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컸다.



5. 브리핑제, ‘연착륙 성공’


정부 중앙 주요 부처의 경우 거의 매일 ‘정책 브리핑’을 갖고 있다. 홍보관리관(공보관), 국·실장이 번갈아 가며 기자들에게 보도자료를 제공하고, 필요할 경우 장·차관이 직접 나서는 관행이 확고히 정착됐다고 청와대는 보도자료를 통해 밝힌 바 있다. 정보통신부는 매일 오후 각 국·실의 브리핑 수요를 조사하고, 기자들의 관심 내용을 접목해 브리핑 주제를 정하고 있다. 2003년 9월 과천 종합청사 중에서 가장 먼저 브리핑룸을 개설한 건설교통부는 브리핑룸 개설 이래 2001년 12월 초까지 40건의 브리핑을 가졌다. 휴일을 제외하면 평균 이틀에 한 번꼴이다.


두 부처 외에도 상당수의 부처에서 비슷한 방식의 브리핑이 이뤄지고 있다. 외교부는 매주 수요일 장관이 정례적으로 주례 브리핑을 갖고 현안을 설명하고 있다. 통일부는 매주 목요일 장관 브리핑을 갖는 등 외교·안보분야에서 대際홍보가 이루어지고 있다.


청와대는 2003년 12월 11일 보도자료를 통해 ‘기자실 개방과 브리핑제가 연착륙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2003년 11월 11일 홍석현 중앙일보 회장(현재 주미 대사)은 인터넷 전자신문인 오마이뉴스와 회견에서 참여정부의 브리핑제와 일련의 언론개혁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


“김영삼·김대중·노무현 정부에 걸쳐 내가 발행인을 했는데, 노무현 정부의 언론관을 떠나서 실제로 언론을 대하는 좋은 점이 많이 있다. 일례로 기사를 이래라 저래라, 맘에 안 든다 빼 달라, 크게 해달라 작게 해달라고 전화한 적이 없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이런 일이 전혀 없다. 그건 엄청난 발전이라고 생각한다.”1)


브리핑제의 장단점 등 언론개혁 종합 평가는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데 대해 환영할 일이다. <끝>


----------------------------------------------------------------

1) 청와대 보도자료, ‘정부-언론 정정당당한 자기역할 충실’, 2003.12.11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자주찾는 서비스 닫기

자주찾는 서비스 설정하기 총 8개까지 선택할수 있습니다.

메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