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하는 윤리경영
ESG마케팅을 위한 점검사항

ESG워싱은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를 홍보 및 마케팅 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므로 효과적인 ESG워싱 방지를 위해 위험을 식별하고 관리하는 작업은 제품 개발, 판매 및 마케팅 부서의 역할로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행동하는 윤리경영에서는 마케팅 과정에서 기업이 ESG워싱을 방지를 위해 고려하고 점검해야 할 주요 사항들을 정리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국제상공회의소(ICC)의 그린워싱 체크리스트와 영국 경쟁시장국 CMA(Competition & Markets Authority)의 ‘Guidance On Environmental Claims On Goods And Services(2021)’보고서는 그린워싱 방지를 위한 체크리스트 및 점검사항에 대해 다루고 있으나 이 조항들을 일반적으로 확장하면 환경분야를 넘어 ESG 전반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회계 컨설팅 기업 PWC의 ESG fraud and ethical risk(2023)보고서에서는 ESG사기를 분류하면서 함께 ESG워싱1)의 유형을 소개하고 있다. 이 유형을 기준으로 실무자가 ESG워싱의 유형을 파악하고 주의사항을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유형별로 점검목록을 아래의 표로 분류 및 정리하였다. 유형 분류에는 캐나다의 친환경 컨설팅 업체 Terra Choice의 ‘그린워싱의 6가지 죄악(sins of greenwashing)’, 영국 경쟁시장국(CMA, Competition and Markets Authority)의 그린클레임 가이드라인 등 문헌들을 참고하였다. 이를 표를 통해 마케팅 시 특히 어떤 부분이 워싱에 해당할 수 있는 지, 주된 ESG워싱 요소가 있는 지 핵심 사항들을 점검해 볼 수 있다. 만약 ESG워싱에 해당되는 부분이 있다면 관련 법안 및 규제를 확인하고 더 구체적인 사항들에 대한 추가적인 점검을 시행해야 한다.

<마케팅에서의 ESG워싱 점검사항>

ESG워싱
유형 분류
점검사항(체크리스트)
모호함 일반화되고 불특정한 표기로 검증 및 반박이 어렵고 '유행어'가 많이 쓰이는 경향이 있다.
  • 사용된 용어의 의미가 소비자에게 명확하게 전달되는가?
  • 모호하거나 일반적인 용어가 사용된 경우 이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는가?
  • 주장에 대한 적절한 설명이 명확히 눈에 띄도록 주장과 근접한 위치에 표기되어 있는가?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가? (예: 큐알코드를 통한 구체적 정보 접근)
  • 주장이 전체 제품과 관련되어 있는가, 아니면 일부와 관련되어 있는가?
  • (주장이 제품, 포장, 부품, 재료 중 어디에 해당하는 지 명확하게 표시하고 있는가?)
  •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정보가 유용한가, 아니면 혼란스럽게 하는가?
  • 명시적 또는 묵시적 주장에 대해 합리적인 근거가 있는가?
  • 주장은 적절한 테스트나 과학적 데이터로 검증 가능한가?
  • 이점으로 주장된 부분은 제품, 구성 요소 또는 패키지가 실제로 제조, 사용 또는 폐기될 때 실현될 가능성이 있는가?
오해의 소지가 있는 주장 기술적으로는 정확하고 긍정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E' 또는 'S'에 해당하지 않는 주장
  • 소비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가? 귀하의 제품, 서비스, 브랜드 또는 비즈니스에서 이러한 용어를 사용할 가치가 있는가?
  • 특정 조건이나 주의 사항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사실인가? 그런 경우 특정 조건이나 주의 사항은 명확한가?
  • 문자 그대로 사실이거나 정확한 사실이더라도 소비자를 속이기 쉬운가?
  • 법적으로 요구되거나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기대할 수 있는 환경적 이점을 말하는가?
  • 주장이 제시하는 긍정적인 효과 또는 부정적 효과가 실제 ESG성과보다 확대/축소된 인상을 주는가?
  • 본질적으로 선언적이고 앞으로 몇 년이 지나야 달성될 가능성이 있는 환경적 약속이나 목표를 포함하는가?
허위 주장
  • 주장하는 바가 사실인가?
  • 주장하는 바를 이행하고 있는가?
좁은 초점 다른 부분에서의 부정적인 영향을 무시하고 긍정적인 행동 강조
  • 주장이 제품이나 비즈니스를 전체적으로 다루는가? 한 부분에만 관련되어 있는가?
  • 제품의 한 요소에 대한 주장을 함으로써 그 주장이 다른 측면에 대해 소비자를 오도하는가?
비교
  • 주장이 유사한 제품과 유사한 부분을 비교하고 있는가?
  • 비교가 공정하고 대표적인가?
  • 비교의 근거가 공정하고 명확한가?
누락 및 은폐 중요정보 생략 및 은폐
  • 주장에 모든 구성요소의 영향(긍정적/부정적)이 전반적으로 고려되었는가?
  • 소비자가 정보(제품, 서비스, 브랜드 또는 비즈니스에 대한 정보)에 입각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소비자에게 어떤 정보가 공개되어야 하는가? 가장 쉽고 명확한 방법으로 추가 정보가 제공 되는가?
  • 주장에 어떤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타당한 이유가 있는가?
입증되지 않은 주장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없는 주장.
  • 주장이 주관적인가, 객관적인가?
  • 주장을 뒷받침할 적절한 증거가 있는가?
  • 증거는 인정된 과학이나 이해에 기초한 것인가, 아니면 논쟁의 여지가 있거나 입증되지 않은 것인가?
  • 증거가 독립적인 감사를 받았는가?
  • ‘최신’의 증거인가?
  • 증거가 실제적이고 일반적인 상황을 반영하는가?
  • 공급망 내의 다른 사람이 이용 가능한 증거가 있는가?
  • 증거가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하여 소비자가 주장을 확인할 수 있는가?
후광효과 명시적 진술은 없지만 마케팅에 ESG관련 문맥, 이미지 등을 사용하여 관련된 이점이 있다는 인상을 전달.
  • ESG관련 이점이나 효과를 나타내는 명시적이거나 암시적인 요소를 사용하고 있는가?(색, 그림 등)
  • 자체 인증 씰이나 로고(환경 등)를 사용하는가? (제3자의 승인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면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기만적일 가능성이 있음)
  • 씰 및 로고의 인증이 절차적으로 투명한가?, 프로세스가 당국의 권장사항에 부합하는가?, 과장 인식 및 해석 가능성 여부는 없는가?
기타
  • 귀하가 제안한 ESG주장은 관련 필수 규정이나 법률을 따르고 있는가?
  • 제품 패키지 표기법에 따르고 있는가?
  •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했는가?
  • 재평가: 정기적으로 재평가 및 업데이트 하는가?
  • 교육: 관련 교육을 받았는가?
  • 전문성: 전문성으로 대표할 수 있는 인물이거나 적절하며 지침에 맞는 주장을 하고 있는가?

추가로 표에서 제시하는 점검사항 외에도 마케팅 또는 기업의 ESG주장에 다음과 같은 요소의 포함 여부 또한 점검되어야 한다.

  • 나쁜 행동 중 가장 좋은 것: 다른 대안이 더 나쁘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부정적인 행동을 긍정적인 행동으로 포장하는 행위.
  • 기준 완화: ESG관련 기준 및 인증을 줄이거나 훼손하여 '기준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는 것
  • 그린워싱(Greenwashing)으로 소개하고 있으나 환경(E)영역뿐만 아니라 사회(S)까지 폭넓게 다루어 기술하고 있으므로 문맥상 ESG워싱으로 판단하였다.

참고

  • ACFE & Grant Thornton, Managing Fraud Risks In An Evolving ESG Environment(2022)
  • CMA(Competition and Markets Authority), Guidance for businesses on making environmental claims(2021.9.20)
  • EY, How good governance can keep corporates clean from greenwashing(2023.5.23)
    https://www.ey.com/
  • PWC, ESG fraud and ethical risk(2023)
  • PWC, Restoring trust through enhanced fraud risk management(2022)
  • Terra Choice, sins of greenwashing(검색일: 2023.08.28)
    https://www.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