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목표 달성에 부정적인 요인이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uncertainty)'을 말한다. 기업의 목표 달성에는 이러한 리스크를 최소화 또는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먼저 조직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리스크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부패 리스크 식별’은 CP 운영의 가장 필수적이고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리스크 식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조직은 불필요한 곳에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게 되고, 당초 목표하는 효과를 거둘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부패 리스크 식별을 포괄하고 있는 ‘부패 리스크 매핑’ 영역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부패 리스크 매핑(Mapping)
부패 리스크 매핑(Mapping)은 조직의 부패 리스크를 전사적 ·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부패 리스크를 식별하고 원인 · 영향력 · 발생 가능성 등을 평가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경감 조치를 실행하고, 부패 리스크 맵을 구축 · 관리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부패 리스크 매핑 절차>
가이드라인에서는 위 부패 리스크 매핑 절차에 따라 지표를 분류하고, ‘역할과 책임, 부패 리스크 식별, 부패 리스크 평가 및 경감 조치, 잔여 부패 리스크 평가 및 추가 조치, 부패 리스크 맵 구축 및 후속 관리, 부패 리스크 매핑 보고 · 공개’ 순으로 설명하고 있다.
1. 부패 리스크 식별 및 평가
부패 리스크 매핑은 크게 ‘부패 리스크 식별 및 평가’와 ‘부패 리스크 맵 구축 및 공개’로 분류되는데, 각각의 세부 항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1-1. 역할과 책임
고위 경영진부터 중간관리자를 포함한 전 직원에게 역할과 책임을 부여하여 전사적으로 참여시키는 것은 부패 리스크 매핑의 핵심 중 하나이다. 특히 CP 운영 초기에는 전사적 참여를 기반으로 매핑 프로세스가 조직 내 문화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때, CP 전담조직은 전사적으로 제출된 부패 리스크 매핑 전반에 대해 평가하고 환류하여야 함에 유의한다.
세부 지표 | 준수사항 |
---|---|
|
|
|
|
|
|
|
|
|
1-2. 부패 리스크 식별
부패 리스크 식별은 대내 · 외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패를 특정하는 단계로 부패 리스크 매핑의 기반이 되는 부분이므로 다양한 관점 그리고 다양한 방법으로 부패 리스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조직 특성에 따른 ‘고유 부패 리스크’와 여러 조직에서 공통적으로 발생 가능한 ‘관리 부패 리스크’를 구분하는 단계이기도 하다.
세부 지표 | 준수사항 |
---|---|
|
|
|
|
|
|
|
|
|
|
|
|
|
1-3. 부패리스크 평가 및 경감 조치
전 직원은 식별된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상황(시나리오)을 고려하여 리스크의 위험 수준을 평가하고, CP 전담조직은 조직 전체의 부패 리스크 식별 결과를 종합한다.
세부 지표 | 준수사항 |
---|---|
|
|
|
|
|
|
|
|
|
|
|
|
|
|
|
|
|
|
|
|
|
|
|
부패 리스크 평가는 각 리스크의 발생 가능성(probability)과 영향력(impact)을 함께 고려하여 ‘위험 수준’을 결정하는 것을 말하며, 조직은 위험 수준이 높을수록 우선하여 경감 조치를 취해야 한다.
<리스크 평가 순서 및 평가 결과>
1-4. 잔여 부패 리스크 평가 및 추가 조치
경감 조치를 취한 이후에도 남아있는 리스크를 ‘잔여 리스크’라고 하며, 조직은 잔여 리스크를 평가하여 그 수준에 따라 추가 조치를 결정해야 한다. 잔여 리스크는 앞선 경감 조치에 따라 발생 가능성 및 영향력이 낮아진 상태이므로 위험 수준이 낮을 경우 추가 조치를 취하지 않고 종결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회피, 이전, 축소’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세부 지표 | 준수사항 |
---|---|
|
|
|
|
|
|
|
2. 부패 리스크 맵 구축 및 공개
지금까지 ‘부패 리스크 식별 및 평가’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어서 ‘부패 리스크 맵 구축 및 공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2-1. 부패 리스크 맵 구축 및 후속 관리
조직은 부패 리스크 식별 · 평가 결과, 실행계획 등을 종합하여 부패 리스크 맵을 구축하고, 효과적인 부패 리스크 관리를 위해 연 1회 이상은 부패 리스크 맵을 현행화할 필요가 있다. 부패 리스크 맵에 기초하여 부패 리스크 관리 전략 및 계획을 수립하고, 조직 구성원들에게 공유한다.
세부 지표 | 준수사항 |
---|---|
|
|
|
|
|
|
|
|
|
|
|
|
|
|
|
<부패 리스크 맵 예시>
2-2. 부패 리스크 매핑 보고 · 공개
부패 리스크 매핑 결과 및 리스크 관리전략, 계획 등은 기관장 또는 최고 의사결정기구에 신속히 보고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고위 경영진은 조직의 부패 리스크를 정확히 파악하고 후속 조치가 효과적으로 이행되는지 관리할 수 있고, 운영규정 · 행위규범 등을 개정하는 데 활용하거나, 이해관계자들이 정보에 쉽게 접근가능하게 함으로써 CP의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부 지표 | 준수사항 |
---|---|
|
|
|
|
|
|
|
|
|
|
|
|
|
|
|
이처럼 부패 리스크 매핑은 고위경영진부터 직원에 이르기까지 전사적으로 참여하고, 발생할 위험성이 있는 부패 리스크를 식별 · 평가하여 경감 조치를 취하고, 경감 조치를 취했음에도 남아 있는 잔여 리스크에 대해 추가 조치를 취한 후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부패 리스크 맵으로 구축 · 관리 · 공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부패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선행 단계라 할 수 있는 ‘부패 리스크 매핑’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청렴윤리경영을 선도하는 조직으로 나아가기를 기대한다.
참고
- 공공기관 청렴윤리경영 컴플라이언스 가이드라인(국민권익위원회)
- 위기의 시대, 글로벌 기업의 리스크 관리(김영식 지음/바른북스)
- 기업 준법윤리경영 인증제도 도입 및 운영 방안 연구(경제 · 인문사회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