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PDF파일지난호보기

기업윤리
브리프스

2017년
7월호

전문가 코칭

신뢰위기의 시대, 기업의 역할과 책임

성경륭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성 경 륭 |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Q1신뢰위기의 시대에 필요한 리더십은 무엇인가?

세계경제포럼(WEF)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2004∼2007년 사이 한국 순위는 세계 29위에서 11위로 빠르게 상승했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4년 이후 3년째 역대 최저인 26위에 머무르고 있다. 2016년 10월∼11월 세계최대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마케팅기업 에델만이 실시한 신뢰도 지표 조사에서도 정부(28%)와 기업(29%)의 신뢰도는 바닥 수준이다. 당시 정부 관계자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단 17%에 불과했다. 공적제도나 기업체계 등 사회시스템에 대한 믿음이 붕괴되면 공동체가 해체되고 사회갈등이 증폭되며 개혁세력에 대한 갈망이 높아진다.

신뢰위기의 시대에는 사람과 조직을 공정하게 대우하고, 사회구성원의 고유한 가치를 존중하며, 사회의 공동이익을 우선하는 포용적 리더십이 요구된다. 포용은 생각과 입장, 이해관계와 처지가 다른 사람이나 집단이 서로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며 의사소통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불신의 벽을 허물면 4%성장”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먼저 기업이 정부, 국회, 근로자에게 신뢰의 자본을 쌓아야하고 노조도 대화와 협상으로 신뢰를 회복해야한다”고 제안했다. 노사가 모두 포용적 리더십을 갖고 대화와 타협에 임해 갈등지수를 OECD 평균수준으로 낮추면 경쟁성장률이 0.2%포인트 개선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Q2신뢰회복을 위한 기업의 역할과 책임은 무엇인가?

기업의 신뢰도에 가장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업이 피해야 할 대표적인 부정행위로는 △계약 성사를 위해 정부에 뇌물을 제공하는 부정청탁, △기업임원과 평직원 간 엄청난 임금격차, △세금회피성 수익이전, △일자리축소를 통한 비용절감, △품질저하를 통한 비용절감 등이 있다. 기업불신은 이처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기업이 저지르는 데서 비롯한다. 이는 기업이 이윤창출과 함께 사회경제적 변화에도 앞장서야 한다는 국민 대다수의 기대를 저버리는 것이다. 사회시스템이 붕괴 위기일 때, 기업은 국민의 신뢰회복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한다.

오스트리아 출신 경제학자 슘페터는 오래 전 자본주의의 미래를 짊어진 존재는 자본가가 아니라 기업가이며, 기업가정신이 자본주의 발전의 엔진이라고 주장했다. 기업가의 창조적 파괴가 더 큰 가치를 창출하므로 기업은 혁신적인 경제 환경을 조성하는 주체로 거듭나야한다는 것이다. 애쓰모글루는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라는 책에서 착취적 사회경제제도를 가진 국가는 굳이 혁신을 하지 않아도 지배세력이 부를 추구하는데 별로 애로사항이 없기 때문에 결국 실패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한국의 대기업은 중소기업이나 중소상인을 쥐어짜기보다는 혁신생태계를 주도함으로써 국가발전에 기여해야한다.

기업은 투명경영·윤리경영의 평가·감독 시스템을 강화해서 부정부패로 망가진 국민의 신뢰를 빨리 회복해야한다. 그리고 최근 문재인정부의 인사에 알 수 있듯이 기업도 클린 인사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하다. 투명하게 사람을 뽑는 것도 중요하지만 깨끗한 사람을 뽑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고위공직자의 권력형 부패사건도 민간기업의 파트너가 있어야 가능한 만큼, 클린 인사 및 기업문화는 부정부패의 싹을 미연에 자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자리문제가 국정 최우선 과제인 상황에서 기업도 책임감 있게 사회의 공유가치창출에 기여해야한다.

기업이 중심이 된 부패에 대한 무관용 원칙은 사회전반에 청렴의식을 뿌리내리고 청렴문화를 꽃피우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나라다운 나라는 약자와 강자가 더불어 살고 지속가능한 상생과 협력의 조직경영이 이루어지는 사회이다. 정경유착이 법제도적으로 불가능하고 대기업·중소기업 간 착취관계가 아닌 공정경쟁과 협력관계가 조성될 때 국민들의 기업신뢰도는 최고조에 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