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코칭
지속가능성과 글로벌 기준
이 재 혁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Q
지속가능경영과 관련된 글로벌 기준이 대두된 배경은 무엇이며, 최근 국제사회의 동향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A

최근 코로나19 사태를 포함해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많은 기업들은 생존 자체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해관계자들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과거에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재무적 성과로 판단하려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재무적 성과를 위한 과정, 즉 경영활동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탁월한 재무적 성과를 위해 각종 악행(협력업체에 불공정 행위 강요, 폐기물 무단 방출 등)을 일삼는 기업들의 지속가능성은 결코 높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속가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경영활동을 판단함에 있어서, 비재무적 성과가 중요한 핵심지표로 대두하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글로벌 기준이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를 통해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평가하는 ESG프레임워크입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ESG 투자목적의 평가지표는 MSCI ESG 평가로, 전 세계 기관투자자들은 금융상품 운용에, 기업들은 자사의 지속가능경영 성과 평가에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ESG 평가지표에 대한 여러 가지 논쟁도 존재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이슈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ESG 평가방법 및 평가결과가 공존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ESG 평가에 있어서 대표적인 기관은 MSCI와 Sustainalytics인데, 이 두 기관의 산업별 평가결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최근 ESG 평가지표의 표준화를 위한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계경제포럼(WEF),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글로벌 회계법인(Deloitte, EY, KPMG, PwC)이 참여해 ESG 핵심 측정지표를 개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Q
다양한 국제표준과 글로벌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기 어려운 현실에서 우리 기업들은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궁금합니다.
A

‘Better Cotton Initiative’(섬유), ‘Drive Sustainability’(자동차), ‘Global e-Sustainability Initiative’(통신), ‘Together for Sustainability’(화학), ‘UNEP Finance Initiative’(금융) 등 최근 산업별로 다양한 국제표준과 글로벌 이니셔티브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의 공통 핵심이슈는 기후변화입니다. 예를 들어 ‘RE100’은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력을 100% 사용하겠다는 글로벌 기업들의 자율적 캠페인입니다. 민간 주도의 이니셔티브이지만, 재생에너지 관련 글로벌 정책의 변화라는 커다란 영향력을 끼치고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이니셔티브는 환경보호라는 대의명분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진입장벽’을 구축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RE100을 선언한 글로벌 기업들은 이러한 지속가능경영 정책을 글로벌 가치사슬로 확대해 협력업체에게도 요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국기업들은 이러한 글로벌 추세를 따라가기에 여러 어려움이 있습니다. RE100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서는 자체건설, 지분참여, 전력구매계약, 녹색요금제 등 4가지 옵션이 존재하지만, 국내 여건상 녹색요금제가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전력 1킬로와트시(kWh)를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이 태양광(112원), 풍력(91원), 석탄(74.9원)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한국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을 통한 비용 측면의 경쟁우위 확보가 현재로서는 불가능해 보입니다. 관련 제도적 방안이 시급한 이유입니다.

대한민국 산업경쟁력 강화는 개별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증진을 통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부 및 관련 기관, 기업, 학계 등이 협의체를 구성하여 산업경쟁력 제고 방안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노력이 절실합니다. 기존의 지속가능경영 관련 국제 표준화에 대한 소개 및 대응체계도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더 나아가 한국기업이 주체가 되어 아시아 기업의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선제적으로 구성하여, 글로벌 이니셔티브 게임에서 단순한 추종자가 아니라 리더 기업의 위상을 발휘할 수 있는 적극적 행보가 필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