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PDF파일지난호보기

기업윤리
브리프스

2017년
1월호

전문가 코칭

2017 윤리경영 실현을 위한 첫 걸음

최 재 한 균형사회연구센터 대표승 정 헌 |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연구교수

Q1우리 윤리경영을 가로막는 방해요소는 무엇인가?

OECD는 매년 “한눈에 보는 사회”(Society at a Glance)라는 사회지표보고서를 발간한다. 여기서 눈에 띄는 부분이 “타인에 대한 신뢰”라는 항목이다. 2016년 기준 OECD 국가의 대인신뢰도는 평균 36% 수준이고 북유럽국가들은 60% 이상의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한국은 26.6%로서 평균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것은 가족과 지인 등 특수 관계의 사람들만 믿고 개인적 관계의 바깥에 있는 낯선 사람은 거의 신뢰하지 않는 우리사회의 적대적인 사회문화를 단적으로 말해주는 것이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정부와 제도에 대한 신뢰도도 28%에 불과해 북유럽국가의 절반 이하 수준이다. 최근 대기업과 공직사회의 부정한 유착관계가 다시 한 번 확인되고, 옥시사태에서 보듯이 기업과 학계가 돈벌이를 위해 많은 사람의 안전조차 무시하는 우리의 현실은 기업이 아무리 윤리경영을 외쳐도 시민들은 별로 믿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개인 간, 조직 간 경쟁이 치열한 저신뢰의 한국사회에서는 규정과 절차를 고지식하게 준수하면 항상 손해를 본다는 인식이 팽배할 수밖에 없다. 공정하고 예측 가능한 법규를 제정하고 집행해야 할 입법부와 행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낮기 때문에 편법과 위법으로 법망을 피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단지 죄를 짓지 않는다는 기업의 소극적 태도만으로는 소비자들에게 감동을 줄 수 없다. 기업이 단순한 수익사업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교육, 병원, 환경, 공공인프라 등의 사업모델에 사물인터넷(IoT)이나 인공지능(AI) 같은 새로운 기술을 더하면 공공문제 해결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사회영향투자(Social Impact Investment)와 같은 ‘착한 투자’가 크게 보면 기업윤리의 제일 중요한 부분일 수 있는데, 우리 기업들은 아직 먼 미래의 일로 생각하는 것 같다. 비록 규제일변도의 법이 양산되는 현실을 감안하여도, 기업이 사회적 책임이나 투명경영 같은 기업의 적극적인 윤리경영을 외면하고 스스로를 준법경영의 틀 안에만 가둔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Q2윤리경영을 실현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소비자의 입소문은 기업의 존망을 결정할 만큼 무서울 정도로 빠르다. 따라서 훌륭한 기업문화는 특별한 광고나 홍보의 힘을 빌리지 않고도 스스로 자연스럽게 확산될 수 있다.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선입견 없는 진짜 가치인 ‘절대가치’(Absolute Value)라는 표현이 있다. 행동경제학이론을 마케팅에 접목하여 행동의사결정이론을 완성한 스탠퍼드대 이타마르 시몬슨 교수는 다양한 제품의 리뷰, 다른 사람의 사용 후기 등 상품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한 절대가치에 따라 소비자들이 구매를 결정한다고 주장한다. 가격과 품질 등 다양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소비자들에게 평가되고 공유되는 새로운 정보환경 덕분에 상품이나 서비스의 품질 경험, 즉 절대가치를 훨씬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최고의 상품과 서비스로 절대가치를 실현하는 것만큼 윤리경영도 남들보다 조금 나은 것이 아닌 절대가치로 자리 잡을 필요가 있다.

최저생계비나 최저임금처럼 윤리경영은 “권위 있는 올바른 기준(모범)”이 될 필요가 있다.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도 그 언어를 잘못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표준영어’(Standard English) 규정을 마련해 읽고 쓰기의 가이드라인을 정한다. 각종 국제기구가 규정하고 있는 부패방지경영이나 사회적 책임 등의 윤리경영시스템이 하나의 사회협약으로 표준화될 필요가 있다. 이제는 정부와 공공기관, 그리고 시민사회가 윤리경영 스탠더드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전개하고 합의의 도출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이다. 한편, 기업은 교육훈련을 업무성과를 위한 수단이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는 생각에서 탈피하여야 한다. 교육훈련이 그 자체로 비용이자 투자이기 때문에 기존직원의 교육보다 훈련된 사람을 채용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판단하면 경력사원 채용을 늘리기도 한다. 하지만 기업윤리 수준이 천차만별인 우리 상황에서 업무 효율성을 추구하다가 기업범죄라는 최악의 상황에 노출될 위험성도 있다. 따라서 윤리경영의 표준화 문제가 가장 필요한 부분이다.